Case report

MAIN

  • 1. 서론

  • 2. 증례

  • 3. 고찰

1. 서론

요도구 주위 낭종(Parameatal urethral cyst)은 요도구 주위에 0.5-1 cm 크기로 발생하는 양성 낭종으로, 1956년 최초 보고 이후 현재까지 전세계적으로 약 50건의 사례만 보고되고 있는 매우 드문 질환이다. 아직 명확한 발병기전은 밝혀지지 않았고, 대부분 무증상이나 미용적 문제, 요로 입구의 왜곡으로 인한 배뇨 장애 등을 초래한다.

2. 증례

환아는 14세 남아로 어릴 적부터 있었던 요도구 주위 낭종 소견에 대해 사춘기 무렵부터 시작된 미용상 문제를 호소하며 외래를 방문하였다. 낭종과 관련된 배뇨통이나 배뇨장애 등의 특이 증상은 없었고, 최근 외상이나, 감염 등의 과거력은 부인하였다. 신체 검사에서 낭종은 요도구 양쪽 측부에 각각 하나씩 0.5 cm, 1 cm 크기였으며 요도하열이나 다른 이상소견은 없었다. 신체검진에서 낭성 종물은 내부에 액체로 채워진 낭종이었고, 부드럽게 촉지되었고 고정되어 있었으며, 압통은 동반되지 않았다.

소변 검사에서 감염이나 혈뇨 등의 특이 소견은 없었다. 초음파 검사에서 내부에 격막이나 고형 부분이 없는 잘 구획된 낭종으로 크기는 왼쪽 0.9 cm, 오른쪽 0.5 cm으로 측정되었다. 양쪽 낭종 모두 음경 근위부 방향으로 요도와 교통하는 누공 의심 소견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국소마취 하에 완전절제를 시행하였고, 요도 손상 등의 수술 중 합병증은 없었다. 수술 후 7일째 봉합사 발사 시행하였고, 감염이나 배뇨증상 등의 부작용 없이 잘 치료되었다. 병리결과 편평상피(squamous epithelium)와 이행상피(transitional epithelium)로 이루어진 양성 낭종 조직으로 임상적 요도구 주위 낭종과 일치한다고 보고되었다.

3. 고찰

요도구 주위 낭종은 요도구 주위 귀두낭종(parameatal glans cyst), 음경점액낭종(penile mucus cyst), 땀샘낭종(hidrocystoma) 등으로도 명명되고 있으며, 대부분 양성 낭종으로 매우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56년 Lantin과 Thompson에 의해 2명의 증례가 처음 보고한 이후, 현재까지 전세계적으로 약 50건의 사례가 주로 일본과 인도 등에서 보고되고 있는 매우 희귀한 임상 증상이다 [1,2]. 선천성 질환으로 간주되지만, 관련된 동반질환이나 증후군 등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3]. 보고된 증례 수에 비해 실제 임상에서 종종 관찰된다는 경험담을 참고한다면 과소보고되는 경향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발병기전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귀두와 포피 사이의 박리 과정에서의 결함과 요도곁관의 폐색 등으로 추정하고 있다 [1,4]. 몇몇 증례의 예를 통해 감염과 에스트로겐의 역할을 제안한 연구자도 있다 [5,6]. 일부 연구에서 요도구 주위 낭종의 조직학적 기원에 대해 면역조직학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7]. 이 연구는 낭종 세포에서 PSA가 검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요도의 남성 부속 성분비샘(accessory male sex gland)이 “기원”임을 주장하였다.

발생하는 위치와 크기는 다양하지만, 요도구의 측부 혹은 복부에서 약 0.5-1 cm 크기로 관찰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성장함에 따라 크기 변화는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8]. 신생아 시기에 발견되는 경우 약 25%에서 자연 소실된다는 보고도 있다 [3]. 크기가 작은 낭종의 경우, 증상이 없고 포경수술을 하지 않는 경우 포피에 덥혀 있어 발견이 어려워, 발병 시기는 매우 다양하고, 일반적으로는 유아기에서 후기 아동기 사이에 발견되고 치료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9]. 무증상인 경우가 대부분이고, 의료진을 찾는 이유는 요도구의 왜곡으로 인한 소변 분무, 세뇨, 배뇨통, 요폐 같은 배뇨장애와 미용적인 문제가 주이다.

치료 방법은 신생아 시기에 발견 시 자연 소실을 기대하면서 경과 관찰하는 것에서 부터, 세침 흡인, 완전 절제수술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다. 자연 소실 후에 다시 재발한 증례가 몇몇 보고되어 지속적인 추적관찰이 필요하다 [3]. 자연 소실되지 않은 청소년기의 병변은 수술적 완전 제거가 표준 치료로 여겨지고 있다. 개창술(marsupialization)은 미용적인 만족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조직학적 검사에서는 낭종이 기원하는 부위에 따라 원주(columnar), 이행(transitional), 입방(cuboidal), 편평(squamous) 등의 다양한 종류의 상피세포가 발견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2]. 감별 진단으로는 표피낭종(epidermoid cyst), 황색육아종(xanthogranuloma), 섬유상피낭종(fibroepithelial cyst), 모낭피지용종(pilosebaceous polyp) 등이 있다 [10].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urology/2021-002-03/N0050020307/images/urology_02_03_07_F1.jpg
그림 1.

수술 전 요도구 주위 낭종 병변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urology/2021-002-03/N0050020307/images/urology_02_03_07_F2.jpg
그림 2.

낭종 질환에 대한 초음파 소견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urology/2021-002-03/N0050020307/images/urology_02_03_07_F3.jpg
그림 3.

완전 절제수술 후 경과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urology/2021-002-03/N0050020307/images/urology_02_03_07_F4.jpg
그림 4.

병리 검체 사진(X20)

References

1
Lantin PM et al., Parameatal cysts of the glans penis, J Urol, 1956
2
Lal S et al., Parameatal cyst: a presentation of rare case and review of literature, Journal of clinical and diagnostic research, JCDR, 2013
3
Christensen CA et al., Management of large congenital parameatal cyst: Observation or intervention? (Case Report), Int J Surg Case Rep, 2020 10.1016/j.ijscr.2020.03.02832276218PMC7150425
4
Yoshida K et al., Parameatal urethral cysts, Urology, 1985 10.1016/0090-4295(85)90162-1
5
Hill JT et al., Parameatal urethral cysts: a review of 6 cases, Br J Urol, 1977 10.1111/j.1464-410X.1977.tb04146.x912259
6
Soyer T et al., Paraurethral cysts in female newborns: role of maternal estrogens, J Pediatr Adolesc Gynecol, 2007 10.1016/j.jpag.2007.04.00717673138
7
Ichiyanagi N et al., Immunohistochemical identification of prostate-specific antigen in a parameatal urethral cyst of the glans penis, Br J Urol, 1998 10.1046/j.1464-410x.1998.00353.x9467501
8
Matsuyama S et al., Long-term Follow-up of Median Raphe Cysts and Parameatal Urethral Cysts in Male Children, Urology, 2017 10.1016/j.urology.2016.10.02027789304
9
Onaran M et al., Parameatal cyst of urethra: a rare congenital anomaly, Int Urol Nephrol, 2006 10.1007/s11255-006-0034-116868696
10
Tirtayasa PMW et al., Parameatal glans cyst: A case report, Urol Case Rep, 2021 10.1016/j.eucr.2021.10180234430211PMC8365350
페이지 상단으로 이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