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view article

MAIN

  • 1. 서론

  • 2. 본론

  •   2.1. 정관절제술과 전체 전립선암의 발생위험도의 연관성 분석

  •   2.2. 전립선암의 병기에 따른 정관절제술과 전립선암 발생위험도의 연관성 분석

  •   2.3. 정관절제술 후 경과된 기간 또는 정관절제술 시 환자 연령과 전립선암 발생위험도의 연관성 분석

  • 3. 결론

1. 서론

정관절제술은 네 번째로 흔한 피임법이며, 지난 10여년 동안 남성들 사이에서 그 관심도가 증가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커플의 6 ~ 8%가 피임법으로 정관절제술을 선택한다. 정관절제술은 가장 효과적인 남성의 영구 피임법으로, 실패율은 1% 미만이다. 게다가, 합병증 발생률이 적기 때문에, 정관절제술은 선진국의 비뇨의학 전문의들에 의해 폭넓게 시행되고 있다 [1].

1990년 Mettlin 등이 정관절제술과 전립선암 위험도의 연관성을 처음으로 보고한 이후로, 여러 연구자들이 이에 대해 조사했지만 그 결과들이 상이하여 그 연관성에 대해 끊임없는 논란이 있어왔다 [2]. 이렇게 연구결과들이 상이한 이유로 몇 가지가 제시되었는데, 첫 번째, 현재까지 알려진 근거들로는 둘 사이의 인과관계를 설명하기에 어렵고, 두 번째, 정관절제술을 시행 받은 환자들은 더 자주 추적관찰이 이루어져 전립선암 스크리닝 결과 detection bias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 등이다. 게다가, 최근 대규모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몇몇 연구들에서도 그 결과들이 상이하였다 [1].

따라서, 본 종설에서는 최근 보고된 메타분석 결과들과 체계적인 문헌 고찰을 통해 정관절제술이 전립선암 발생위험도와 연관성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2. 본론

2.1. 정관절제술과 전체 전립선암의 발생위험도의 연관성 분석

최근 Baboudjian 등이 37개 연구를 대상으로 시행한 메타분석에서 정관절제술은 전체 전립선암의 발생위험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Odds ratio 1.23; 95% 신뢰구간, 1.10–1.37) [1,2,3,4,5,6,7,8,9,10,11,12,13,14,15,16,17, 18,19,20,21,22,23,24,25,26,27,28,29,30,31,32,33,34,35,36,37,38] [그림 1]. 이 메타분석에 포함된 37개 연구 중 17개의 코호트연구를 분석한 결과 정관절제술은 전립선암의 발생위험도와 연관성이 있었고(Odds ratio 1.09; 95% 신뢰구간, 1.04–1.13) [3,4,5,6, 8,10,13,15,17,19,23,25,28,32,35], 18개의 환자-대조군 연구들을 분석했을 때도 유의한 연관성이 있었다(Odds ratio 1.23; 95% 신뢰구간, 1.07–1.40) [2,9,12,16,18,20,21,22,24,26,27,29,30,31,33,34,38][그림 1]. 하지만, 2개의 단면조사 연구들에서는 그 연관성이 관찰되지 않았다(Odds ratio 2.22; 95% 신뢰구간, 0.53–9.29) [7,11][그림 1].

https://cdn.apub.kr/journalsite/sites/urology/2023-004-02/N0050040206/images/urology_04_02_06_F1.jpg
그림 1.

메타분석에 포함된 전체 연구들 및 연구디자인에 따른 정관절제술과 전립선암의 발생위험도 연관성 분석 결과 (forest plot). CI = 신뢰구간; df = degrees of freedom; IV = inverse variance; SE = standard error [1]

또한, 이 메타분석에 포함된 7개의 연구에서는(5개의 코호트연구와 2개의 환자-대조군 연구; 총 353,602명) 모든 환자가 PSA 스크리닝을 받았거나 PSA 스크리닝 여부를 다변량 분석에 포함하여 정관절제술과 전립선암 발생위험도의 연관성을 조사하였는데 유의하지만 미약한 상관관계가 확인되었다(Odds ratio 1.06; 95% 신뢰구간, 1.03–1.08) [1]. 결과적으로 포함된 모든 연구를 대상으로 한 메타분석에서는 정관절제술을 시행 받은 환자들에서 전립선암 발생위험도 증가가 23%였으나, 코호트연구들로 한정하였을 때는 9%였고, PSA 스크리닝이 보정된 연구들로 한정하였을 때는 6%까지 감소하였다.

2.2. 전립선암의 병기에 따른 정관절제술과 전립선암 발생위험도의 연관성 분석

정관절제술과 localized prostate cancer의 발생위험도의 연관성을 조사한 10개 연구의 메타분석에서 유의하지만 미약한 상관관계가 관찰되었고(Odds ratio 1.08; 95% 신뢰구간, 1.06–1.11) [4,5,8,19,20,21,28,30,31,32], advanced prostate cancer의 경우에도 13개의 연구들의 메타분석에서 유의하지만 미약한 연관성이 보고되었다(Odds ratio 1.07; 95% 신뢰구간, 1.02–1.13) [3,4,5,8,19,21,25,28,30,31,32,36][그림 2]. 하지만, 정관절제술과 localized high-grade prostate cancer 발생위험도의 연관성을 조사한 8개 연구들의 메타분석에서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고(Odds ratio 1.04; 95% 신뢰구간, 0.98–1.10) [3,4,8,19,25,28,32], fatal prostate cancer 환자들을 조사한 9개의 연구들의 메타분석에서도 유의한 연관성이 없었다(Odds ratio 1.01; 95% 신뢰구간, 0.95–1.08) [3,4,8,19,25,32,36,37][그림 2].

https://cdn.apub.kr/journalsite/sites/urology/2023-004-02/N0050040206/images/urology_04_02_06_F2.jpg
그림 2.

전립선암의 병기에 따른 정관절제술과 전립선암 발생위험도의 연관성 분석 결과 (forest plot). CI = 신뢰구간; df = degrees of freedom; IV = inverse variance; SE = standard error [1]

PSA 스크리닝이 보정된 7개 연구의 메타분석에서 정관절제술과 localized prostate cancer의 발생위험도는 유의하지만 미약한 상관관계가 관찰되었지만(Odds ratio 1.06; 95% 신뢰구간, 1.03–1.09), localized high-grade prostate cancer (Odds ratio 1.05; 95% 신뢰구간, 0.99–1.11)와 advanced prostate cancer (Odds ratio 1.05; 95% 신뢰구간, 0.97–1.13) 및 fatal prostate cancer (Odds ratio 1.03; 95% 신뢰구간, 0.96–1.10)의 경우 유의미한 연관성이 없었다 [1].

2.3. 정관절제술 후 경과된 기간 또는 정관절제술 시 환자 연령과 전립선암 발생위험도의 연관성 분석

6개의 코호트연구 [8,13,15,23,28,32]와 15개의 환자-대조군 연구들 [2,9,12,18,21,27,29,31,33,34,38,39,40,41] 및 1개의 단면조사연구 [11]에서 정관절제술 후 경과된 시간과 전립선암 발생위험도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는데, 이들 중 1개의 코호트연구와 6개의 환자-대조군 연구들에서만 정관절제술 후 기간이 길수록 전립선암 발생위험도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2,8,12,21,27,34]. 또한, 4개의 코호트연구 [8,23,28,32]과 11개의 환자-대조군 연구들 [9,16,18,20,21,27,30,31,33,34,41]에서 정관절제술을 시행 받은 연령과 전립선암 발생위험도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이들 중 1개의 코호트연구와 4개의 환자-대조군 연구들에서 정관절제술 시 연령이 낮을수록 전립선암 발생위험도 증가하였다 [8,16,21,30,34]. 흥미롭게도 1개의 코호트연구와 1개의 환자-대조군 연구에서는 정관절제술 시 연령이 높을수록 전립선암 발생위험도가 증가하였다 [27,28]. 그 외 다른 연구들에서는 정관절제술 시 환자 연령과 전립선암 발생위험도 사이에 어떠한 연관성도 확인하지 못했다.

3. 결론

정관절제술은 전립선암의 발생위험도와 아주 미약한 상관관계가 있어 보이지만 PSA 스크리닝이 보정된 연구들로 한정했을 때는 그 미약한 연관성이 localized prostate cancer에만 국한되었으며 발생위험도 수치 자체도 유의미한 값으로 보기 어렵다. 설령 정관절제술이 전립선암의 발생과 인과관계가 있다고 가정해도, 정관절제술을 시행 받은 남성들은 정관절제술을 시행 받지 않은 남성들에 비해 일생동안 전립선암의 발생위험도가 단지 6% 높으며, 이는 전체 전립선암 환자들 중 0.5%만을 차지하는 수준이고 그나마도 localized prostate cancer에 국한된다. 결론적으로 정관절제술을 시행 받은 남성에서 전립선암의 발생위험도가 증가한다는 가설을 뒷받침할 수 있는 근거는 없다. 그러므로, 전립선암에 대한 걱정 때문에 장기간 피임을 원하는 커플들에게 비뇨의학 전문의가 정관수술을 꺼려하는 일은 없어야 한다.

References

1
Baboudjian M et al., Prostate Cancer Committee of the Association Française d'Urologie CC-AFU, Vasectomy and Risk of Prostate Cancer: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Eur Urol Open Sci, 2022
2
Mettlin C et al., Vasectomy and prostate cancer risk, Am J Epidemiol, 1990 10.1093/oxfordjournals.aje.a1157472260537
3
Shoag J et al., Vasectomy and risk of prostate cancer in a screening trial, Cancer Epidemiol Biomarkers Prev, 2017 10.1158/1055-9965.EPI-16-077628830873
4
Davenport MT et al., Vasectomy and the risk of prostate cancer in a prospective US Cohort: data from the NIH-AARP Diet and Health Study, Andrology, 2019 10.1111/andr.1257030714352
5
Husby A et al., Vasectomy and prostate cancer risk: a 38-year nationwide cohort study, J Natl Cancer Inst, 2020 10.1093/jnci/djz09931119294
6
Seikkula H et al., Vasectomy and the risk of prostate cancer in a Finnish nationwide population-based cohort, Cancer Epidemiol, 2020 10.1016/j.canep.2019.10163131760357
7
Alqahtani KS et al., Analysis of risk factors for prostate cancer patients, Int J Med Eng Inform, 2015 10.1504/IJMEI.2015.072322
8
Smith K et al., Vasectomy and prostate cancer risk in the European Prospective Investigation into Cancer and Nutrition (EPIC), J Clin Oncol, 2017
9
Cox B et al., Vasectomy and risk of prostate cancer, JAMA, 2002 10.1001/jama.287.23.311012069674
10
Eisenberg ML et al., Increased risk of cancer in infertile men: analysis of U.S. claims data, J Urol, 2015 10.1016/j.juro.2014.11.08025463997
11
DeAntoni EP et al., A cross-sectional study of vasectomy, time since vasectomy and prostate cancer, Prostate Cancer Prostatic Dis, 1997 10.1038/sj.pcan.450020912496919
12
Emard JF et al., Vasectomy and prostate cancer in Québec. Canada, Health Place, 2001 10.1016/S1353-8292(01)00005-311470226
13
Giovannucci E et al., A prospective cohort study of vasectomy and prostate cancer in US men, JAMA, 1993 10.1001/jama.1993.035000700530288426446
14
Giovannucci E et al.,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of vasectomy and prostate cancer in US men, JAMA, 1993 10.1001/jama.1993.035000700580298123059
15
Goldacre MJ et al., Cancer and cardiovascular disease after vasectomy: an epidemiological database study, Fertil Steril, 2005 10.1016/j.fertnstert.2005.04.05216275241
16
Hayes RB et al., Vasectomy and prostate cancer in US blacks and whites, Am J Epidemiol, 1993 10.1093/oxfordjournals.aje.a1166738452134
17
Hiatt RA et al., Alcohol consumption, smoking, and other risk factors and prostate cancer in a large health plan cohort in California (United States), Cancer Causes Control, 1994 10.1007/BF018307287510134
18
Holt SK et al., Vasectomy and the risk of prostate cancer, J Urol, 2008 10.1016/j.juro.2008.08.04218930503PMC2582972
19
Jacobs EJ et al., Vasectomy and prostate cancer incidence and mortality in a large US cohort, J Clin Oncol, 2016 10.1200/JCO.2015.66.236127646949PMC6366294
20
John EM et al., Vasectomy and prostate cancer: results from a multiethnic case-control study, J Natl Cancer Inst, 1995 10.1093/jnci/87.9.6627538594
21
Lesko SM et al., Vasectomy and prostate cancer [published correction appears in J Urol. 1999 10.1097/00005392-199906000-0003410332451
22
Lightfoot N et al., Medical history, sexual, and maturational factors and prostate cancer risk, Ann Epidemiol, 2004 10.1016/j.annepidem.2003.11.00615380796
23
Lynge E. Prostate cancer is not increased in men with vasectomy in Denmark, J Urol, 2002 10.1097/00005392-200208000-0001812131294
24
Nair-Shalliker V et al., Adult body size, sexual history and adolescent sexual development, may predict risk of developing prostate cancer: results from the New South Wales Lifestyle and Evaluation of Risk Study (CLEAR), Int J Cancer, 2017 10.1002/ijc.3047127741552
25
Nayan M et al., Vasectomy and risk of prostate cancer: population based matched cohort study, BMJ, 2016 10.1136/bmj.i554627811008PMC5094198
26
Patel DA et al., Sexually transmitted diseases and other urogenital conditions as risk factors for prostate cancer: a case-control study in Wayne County, Michigan, Cancer Causes Control, 2005 10.1007/s10552-004-3486-615947878
27
Platz EA et al., Vasectomy and prostate cancer: a case-control study in India, Int J Epidemiol, 1997 10.1093/ije/26.5.9339363512
28
Rohrmann S et al., Association of vasectomy and prostate cancer among men in a Maryland cohort, Cancer Causes Control, 2005 10.1007/s10552-005-0304-816215869
29
Romero FR et al., The significance of biological, environmental, and social risk factors for prostate cancer in a cohort study in Brazil, Int Braz J Urol, 2012 10.1590/1677-55382013380676923302414
30
Rosenberg L et al., The relation of vasectomy to the risk of cancer, Am J Epidemiol, 1994 10.1093/oxfordjournals.aje.a1172658067335
31
Schwingl PJ et al., HRP Multicenter Study of Prostate Cancer and Vasectomy. Prostate cancer and vasectomy: a hospital-based case-control study in China, Nepal and the Republic of Korea, Contraception, 2009 10.1016/j.contraception.2008.11.01519341848
32
Siddiqui MM et al., Vasectomy and risk of aggressive prostate cancer: a 24-year follow-up study, J Clin Oncol, 2014 10.1200/JCO.2013.54.844625002716PMC4162499
33
Stanford JL et al., Vasectomy and risk of prostate cancer, Cancer Epidemiol Biomarkers Prev, 1999
34
Sunny L. Is it reporting bias doubled the risk of prostate cancer in vasectomised men in Mumbai, India? Asian Pac J Cancer Prev, 2005
35
Tangen CM et al., Biases in recommendations for and acceptance of prostate biopsy significantly affect assessment of prostate cancer risk factors: results from two large randomized clinical trials, J Clin Oncol, 2016 10.1200/JCO.2016.68.196527998216PMC5455311
36
van Leeuwen PJ et al., Critical assessment of prebiopsy parameters for predicting prostate cancer metastasis and mortality, Can J Urol, 2011
37
Weinmann S et al., Medical history, body size, and cigarette smoking in relation to fatal prostate cancer, Cancer Causes Control, 2010 10.1007/s10552-009-9441-919816779
38
Hennis AJ et al., Urologic characteristics and sexual behaviors associated with prostate cancer in an African-Caribbean population in Barbados. West Indies, Prostate Cancer, 2013 10.1155/2013/68275023533778PMC3596924
39
Honda GD et al., Henderson BE. Vasectomy, cigarette smoking, and age at first sexual intercourse as risk factors for prostate cancer in middle-aged men, Br J Cancer, 1988 10.1038/bjc.1988.743355774PMC2246522
40
Spitz MR et al., Re: 'Vasectomy and the risk of prostate cancer', Am J Epidemiol, 1991 10.1093/oxfordjournals.aje.a115986
41
Zhu K et al., Vasectomy and prostate cancer: a case-control study in a health maintenance organization, Am J Epidemiol, 1996 10.1093/oxfordjournals.aje.a0089948857819
페이지 상단으로 이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