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ief Case Review

MAIN

  • 1. Case

  • 2. Comment

1. Case

68세 남자가 좌측의 무통성 서혜부 종물로 내원하였다. 10년전부터 전립선비대증으로 약물 복용 중이었고, 약 1년전부터 서서히 좌측 서혜부에 종물이 느껴졌다고 하였다. 신체검사에서 좌측 서혜부종물이 촉지되었으며, 처음에는 서혜부 탈장으로 오인하였다. 초음파검사에서 치골 좌측 상부에서 5 cm × 10 cm 크기의 불규칙한 종물로 관찰되어 Pelvic CT를 시행하였고 좌측 서혜부의 불규칙한 종물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술은 inguinal incision을 통해 방광과 전립선은 보존하고 치골과 방광사이의 종물을 제거하였다.

2. Comment

악성 섬유성 조직구종은 중년에서 발견되는 가장 흔한 연부 조직 육종이다. 1964년 O’Brien과 Stout이 섬유아세포에서 기원하는 육종으로 처음으로 보고하였다. 호발 부위는 하지, 상지, 흉부, 후복강 등이며 전이와 국소 재발이 비교적 높은 빈도로 동반되고, 종양으로 인한 사망률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가장 흔한 전이 부위는 폐(90%), 뼈(8%), 간(1%) 등이다.

악성 섬유성 조직구종의 치료는 수술적 절제가 원칙이며 안전 절제 변연을 충분히 확보하여 광범위 절제술을 시행하는 것이다. 그러나 진단 당시 이미 주변 조직으로 국소 침윤이나 원격 전이가 동반된 경우가 많이 있어, 수술 후 보조 방사선 요법을 병행하기도 하며, 원격 전이가 확인 된 경우 보조 화학 요법을 고려한다.

국내에서는 김 등이 정삭에서 발생한 악성 섬유조직 구종을 보고한 바 있는데, 본 증례처럼 음낭 종물로 내원한 경우였다. 김 등이 보고한 증례는 초진 시 정액류로 판단하여 단순 적출을 시행하였으나, 조직검사에서 악성 섬유조직구종으로 확진되어 이후 추가적으로 정삭의 고위결찰 및 근치적 고환 적출술을 시행하였다.

비뇨의학과영역에서는 비교적 빈도가 낮은 종양이므로 면밀한 신체검사와 수술 전 적극적인 영상검사가 근치적 절제 등 치료 계획을 세우는 데에 큰 도움이 된다. 부적절한 진단 및 치료에 따른 종양의 재발은 환자의 나쁜 예후와 직결되므로, 처음 환자가 내원하였을 때 평소와 상이한 진찰 소견을 보인다면, 정확한 진단을 위한 적극적인 영상의학 검사를 시행함으로써 적절한 치료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림 1] KUB에서 병변과 연관된 특이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urology/2021-002-03/N0050020308/images/urology_02_03_08_F1.jpg
그림 1.

[그림 2] Pelvic CT에서 좌측 서혜부에서 치골 전방부위의 불규칙한 조영증강을 보이는 10 cm × 5 cm 크기의 연부 조직 종물이 관찰되었다.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urology/2021-002-03/N0050020308/images/urology_02_03_08_F2.jpg
그림 2.

[그림 3] MRI에서 역시 좌측 서혜부에서 불규칙한 조영증강을 보이는 10 cm × 5 cm 크기의 연부 조직 종물이 관찰되었다. 방광이나 전립선, 주위 골반 뼈로의 직접 침윤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urology/2021-002-03/N0050020308/images/urology_02_03_08_F3.jpg
그림 3.

[그림 4] 수술은 Inguinal incision을 통해 방광과 전립선은 보존하고 치골과 방광사이의 좌측 서혜부 종물을 제거하였다.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urology/2021-002-03/N0050020308/images/urology_02_03_08_F4.jpg
그림 4.

References

1
Spector DB et al., Malignant fibrous histiocytoma: an unusual lesion of interest to the orthopaedic surgeon, J Bone Joint Surg Br, 1979 10.1302/0301-620X.61B2.220265220265
2
Meir PB et al., Malignant fibrous histiocytoma of soft tissue. a report of two cases and a review of the Literrature, J Plast Surg, 1987
3
Muhammad A et al., Malignant fibrous histiocytoma: An uncommon soft tissue sarcoma, J Parkistan Ass Dermatol, 2009
4
김지윤 ‧ 이성호 ‧ 정희창 ‧ 김동석 ‧ 조재호, 정삭에 발생한 악성섬유조직구종-1예 보고, 영남의대학술지, 2003
페이지 상단으로 이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