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view article

ABSTRACT


MAIN

  • 1. 서론

  • 2. 감염

  •   2.1. 급성 신우 신염(Acute pyelonephritis, APN)

  •   2.2. 만성 신우 신염(Chronic pyelonephritis, CPN)

  •   2.3. 신실질 질환(Renal parenchymal disease)

  •   2.4. 신동맥 협착증(Renal artery stenosis)

  •   2.5. 신실질 종양

1. 서론

비뇨의학과 개원의들이 시행하는 신장 초음파 검사가 증가하여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 그러나 전공의 과정에서 이론과 실기를 제대로 배우기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평균 수명이 증가함에 따라서 신장 질환자는 그 숫자가 매년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신장 초음파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염증, 감염, 종양 등을 감별하려면 환자의 증상과 소변 검사, 혈액 검사 등을 같이 고려해야 하지만 그 구별이 쉽지 않은 경우가 적지 않다. 신장 초음파 검사를 시행하면 대부분의 증례에서 정상과 비정상을 구분할 수 있기 때문에 정상과 비정상 초음파 소견을 숙지하고 신장 초음파 검사를 시행해야 한다. 이 종설에서는 흔히 접할 수 있는 신우 신염, 신실질질환, 신동맥 협착증, 양성 종양, 악성 종양 등의 초음파 소견을 제시하려고 한다.

2. 감염

2.1. 급성 신우 신염(Acute pyelonephritis, APN)

환자가 고열, 측복통, 빈뇨, 배뇨통 등을 호소하고 소변 검사에서 농뇨(pyuria)가 진단되면 신우 신염, 방광염, 요도염 등을 의심할 수 있다. 초음파는 필수 검사가 아니기 때문에 반드시 시행할 필요는 없지만 요로 폐색, 농양, 액체 저류 등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치료 예후를 예측하는데 중요하다. 이러한 소견이 있다면 통상적인 항생제 치료로는 요로 감염이 해결이 되지 않고 패혈증으로 악화될 수 있다. 또한, 잘 조절되지 않는 당뇨병, 만성 질환자, 면역 저하자, 임산부 등은 상기 소견이 없더라도 유두 괴사, 농양 형성 등으로 진행할 수 있다 [1,2,3] [그림 1]. 그러므로 가급적 모든 환자에서 초음파 검사를 시행하여 상기 소견 유무를 확인할 것을 권장한다.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urology/2023-004-01/N0050040102/images/urology_04_01_02_F1.jpg
그림 1.

급성 신우 신염과 농양 형성 (57세여)

급성 신우 신염이 발생하여 우측 신장이 커지고 신실질이 파괴되었다. 피질과 수질이 구별되지 않고 신실질의 에코가 증가되었다 (흰 화살표). 신장 하극에 두 개의 농양 (흰 별표)이 있어서 18 gauge 바늘로 초음파 유도 하에 농양을 뽑았다. 환자는 폐암 때문에 항암제 치료 중에 백혈구 감소가 발생하여 면역 기능이 저하되었다.

신우 신염이 있는 경우 거의 모든 경우에서 신장 부종이 발생하기 때문에 다양한 정도의 신장 크기 증가가 발생한다 [1,2]. 초음파상 신장 크기와 모양이 다양하여 초기에는 정상 크기와 모양을 유지할 수도 있다. 신피질 에코는 정상이거나 보다 낮아질 수 있고 높아지지는 드물다. 만약 높아졌다면 상당히 신우 신염이 악화되어 비가역적 신실질 손상을 의미하는 경우이다. 부종이 심해지면 혈류가 감소하기 때문에 색도플러 검사상 신장내 관류가 저하된다. 경증의 수신증은 매우 흔하며 요로 폐색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요로 폐색이 동반될 경우 수신증 정도가 비교적 증가하고 calyceal blunting, 요관 확장 등이 동반된다. 특히 소변의 에코가 증가되고 부유물의 이동 및 침착, 소변 내에 공기를 의심케 하는 shadowing이 있다면 pyonehrosis를 강하게 시사하는 소견이기 때문에 응급으로 PCN (percutaneous nephrostomy)를 시행해야 한다 [4].

결론적으로 기저질환이 없는 급성 신우신염 환자가 초음파 소견상 정상 또는 약간의 신부종만 보일 경우 안심하고 항생제 처방하고 추후 재방문시 증상의 호전, 소변 검사에서 농뇨가 사라졌는지 확인하면 된다.

2.2. 만성 신우 신염(Chronic pyelonephritis, CPN)

반복되는 요로 감염 때문에 신장 내에 비가역적 손상이 발생하면 해당 신실질이 위축되고 calyx의 모양이 변형된다. 그러므로 초음파 검사상 hydrocalyx가 보이며 fornix가 넓어져서 clubbing이 발생한다 [3,5,6]. 또한 인접한 신실질이 위축되어 얇아지며 주변 정상 조직이 비대해질 수 있다 [3,5,6] [그림 2]. 이러한 소견이 반복되면 신기능이 감소하며 요로 감염이 잘 조절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이런 경우 방광벽도 두꺼워지기 때문에 신장 뿐만 아니라 방광도 초음파 검사를 해야 한다.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urology/2023-004-01/N0050040102/images/urology_04_01_02_F2.jpg
그림 2.

결핵성 만성 신우 신염 (59세남)

우측 신장 하극에 만성 신우 신염으로 신실질이 위축되었다 (흰 화살표). 우측 신배는 확장되었으며 (흰 별표) infundibulum은 두껍고 좁아졌다. 반면에 신배는 매우 협착되어 잘 보이지 않는다. 결핵에 의한 만성 신우 신염으로 진단되었다.

2.3. 신실질 질환(Renal parenchymal disease)

신실질에 사구체신염, 간질성 신염, 혈관성 신질환 등이 발생하면 신실질에 염증이 발생하여 신기능의 감소가 발생한다 [7]. 급성 염증이 발생하면 신장의 크기가 부종 때문에 증가하고 신피질의 에코는 정상이거나 감소한다 [7,8]. 그러나 만성 염증시 신피질의 에코가 증가되고 신장의 크기가 감소한다 [그림 3]. 신피질의 에코가 증가하면 피질과 수질의 경계가 더욱 뚜렷해진다 [7,8]. 초음파 검사는 신장 크기를 정확히 측정하여 조직 검사를 가능 여부를 결정하며 신피질의 에코의 증가 유무를 판단한다. 신장 크기의 감소와 신피질 에코의 증가는 양측 신장 모두 대칭적으로 발생한다. 그러므로 비대칭적인 신장 크기 감소와 신피질 에코의 증가는 신장 동맥 협착의 동반 가능성을 배제해야 한다. 신장 동맥을 도플러 초음파로 검사하여 협착 유무를 결정해야 한다 [9,10,11].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urology/2023-004-01/N0050040102/images/urology_04_01_02_F3.jpg
그림 3.

신실질 질환 (71세여)

만성 신실질 질환 때문에 우측 신장 피질의 에코가 간실질 에코에 비해 증가되었다 (흰 별표). 또한 피질의 에코가 증가되어 수질(화살표)과 명확히 구분된다. 신장의 크기도 감소되어 8.7 cm로 측정된다.

2.4. 신동맥 협착증(Renal artery stenosis)

신동맥 협착증은 비교적 흔한 질환이며 고혈압, 신장 기능 감소 등을 일으키지만 조기에 발견하면 혈압을 낮추고 신기능의 악화를 막을 수 있다. 초음파 검사로 신장 동맥을 발견하기가 쉽지 않지만 좌신 정맥을 먼저 찾으면 쉽게 해결될 수 있다 [9,10,11]. 환자의 숨을 참게 하지 말고 배가 부드럽게 눌려서 후복막강과 거리를 좁혀야 한다. 좌신 정맥을 찾으면 후방 및 주변에 양측 신장 동맥이 있기 때문에 각각의 신장 동맥을 찾아서 동맥 기시부와 근위부에서 협착 유무를 판단한다. 회색조 초음파도 협착 유무를 찾을 수 있지만 색도플러 초음파를 시행하면 협착 부위를 더 정확하게 찾을 수 있다 [9]. 스펙트럼 도플러 초음파(Spectral Doppler US)로 좁아진 부위의 혈류 속도를 측정하면 180 cm/s가 넘을 경우 신동맥협착을 진단할 수 있다 [9,10] [그림 4]. 대동맥의 혈류 속도를 측정하고 신장 동맥 속도가 2.5 – 3배 이상으로 대동맥 혈류 속도에 비교하여 증가된 경우도 신동맥협착을 진단할 수 있다 [9,10,11]. 그러나 협착이 심하면 초음파 신호가 약하거나 혈류 측정이 기술적으로 어려울 수 있다. 이런 경우 협착 후방의 넓어진 동맥 내에서 혈류를 측정하여 180 cm/s 이상 측정되거나 대동맥 혈류 속도보다 2.5 – 3 배 이상 증가 되면 신동맥 협착증을 진단할 수 있다 [9].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urology/2023-004-01/N0050040102/images/urology_04_01_02_F4.jpg
그림 4.

신동맥 협착 (77세남)

2.5. 신실질 종양

2.5.1. 양성 종양(benign renal tumor)

신실질에서 발생하는 양성 종양은 대부분 Bosniak I과 II 낭종이다. 이 종양은 낭벽과 격막이 매우 얇고 미세한 석회화가 동반될 수 있다 [12,13]. 얇은 정도는 낭벽이 머리카락 두께를 의미하며 2 mm 이상 두꺼워지면 IIF 이상의 낭종이기 때문에 암일 가능성이 5% 미만이지만 CT 검사를 시행해야 한다 [12,13]. 또한 낭벽과 격막이 두꺼울 뿐만 아니라 불규칙하면 Bosniak III 낭종이고 내부에 고형 결절이 발생하면 Bosniak IV 낭종이다 [12,13] [그림 5]. 이러한 경우 암일 가능성이 50 – 90%이기 때문에 반드시 CT검사를 시행해야 한다.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urology/2023-004-01/N0050040102/images/urology_04_01_02_F5.jpg
그림 5.

Bosniak IV 신낭종 (77세남)

우측 신장에 신낭종(흰 별표)이 있고 내부에 결절(흰 화살표)가 보인다. 색도플러 검사에서 결절 내부에 혈류(흰 화살촉)가 보이기 때문에 혈종(hematoma)가 아니고 고형 결절 (solid nodule)이며 Bosniak IV로 진단되었다. 부분 절제술 후 신세포암으로 진단되었다.

초음파 검사상 종괴의 에코가 인접한 신피질 보다 증가 되면 고형 종괴로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출혈이 있는 낭종인 경우도 에코가 증가되기 때문에 고형 종괴와 구분해야 한다 [13]. 색도플러 검사시 종괴내 혈류가 존재하면 고형 종괴로 인지하면 된다. 혈류가 보이지 않는 고형 종괴는 역시 출혈 낭종과 감별이 어렵다. 이런 경우 개원가에서 초음파 조영제를 시용하면 종괴 내 혈류 유무를 쉽게 구분할 수 있다 [그림 5]. CT 또는 MRI 조영제와 달리 부작용이 거의 없으며 신장 기능이 감소된 환자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13].

양성 고형 종괴는 혈관근지방종, oncocytoma 등이 대표적이지만 동양인에게는 혈관근지방종이 압도적으로 흔하다 [14,15,16]. 그러므로 고형 종괴로 판단될 경우 혈관근지방종과 신세포암의 감별이 제일 중요하다. 지방이 많은 혈관근지방종은 신세포암과 비교할 때 에코가 상대적으로 높아서 흔히 신동(renal sinus) 에코와 비교시 같거나 높은 경우가 많다 [17,18] [그림 6]. 에코가 높을수록 종괴 후방으로 초음파 투과가 어렵기 때문에 후방 그림자(posterior shadowing)도 비교적 흔히 볼 수 있다 [19]. 그러나 종양 내 지방이 감소하면 종양의 에코가 감소하기 때문에 신세포암과 감별이 어려워지며 CT 또는 MRI를 시행해야 한다. 내부에 낭성 변화, 괴사, 석회화 등은 매우 드물기 때문에 이런 소견이 동반되면 신세포암을 먼저 고려해야 한다 [15].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urology/2023-004-01/N0050040102/images/urology_04_01_02_F6.jpg
그림 6.

혈관근지방종 (79세여)

우측 신장에 고에코의 종괴(흰 화살표)가 있고 2 cm으로 측정된다. 이 병변의 에코(흰별표)는 신동(흰 별표)의 에코와 비교시 비슷하거나 약간 높다.

2.5.2. 악성 종양(Malignant renal tumor)

신실질에서 발생하는 악성 종양 중에 가장 흔한 것은 신세포암이다. 그래서 신장 초음파를 시행할 경우 신세포암의 소견을 잘 숙지 해야 한다. 4 cm 미만의 소신세포암은 신피질과 비교하여 에코가 증가된다 [20]. 그러므로 종괴 처럼 보이지만 주변과 신피질과 같은 에코라면 신세포암이 아닐 가능성이 높다 [21,22,23]. 소신세포암은 저분화암(low grade cancer)이 흔하며 대개는 주변을 누르면서 자라기 때문에 가짜 피막(pseudocapsule)의 형성이 매우 흔하여 저에코의 테두리가 종괴 주변에 보인다 [24,25,26] [그림 7]. 또한 종양 내부에 낭종이 흔히 보이는 것도 특징이다 [24,25,26].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urology/2023-004-01/N0050040102/images/urology_04_01_02_F7.jpg
그림 7.

소신세포암 (63세남)

좌측 신장에서 발생한 3 cm의 고형 종괴(흰 화살표)가 보이며 내부의 에코는 신실질보다 높지만 신동의 에코와 비교할 때 낮게 보인다. 종괴 내부에 검게 보이는 작은 낭종(검정 화살표)가 있고 종양을 감싸는 검정 테두리(흰 화살촉)도 잘 보인다. 조직 검사를 시행했고 신세포암으로 진단되었다.

4 cm 이상의 대신세포암은 내부에 괴사, 낭성변화, 출혈 등이 흔하기 때문에 소신세포암에 비해 국소적으로 에코가 증가하여 비균질적으로 보인다 [27,28,29] [그림 8]. 또한 정맥 혈전이 발생할 경우 정맥이 커지며 약간 코에코의 종양 혈전이 보인다 [29]. 회색조 초음파와 색도플러 초음파 검사로 신정맥과 하대 정맥 내에 종양 혈전을 발견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 [29]. 간, 임파절, 췌장 등에 전이한 종양 또한 크기와 개수가 증가되면 초음파 검사로 진단이 가능할 수 있다.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urology/2023-004-01/N0050040102/images/urology_04_01_02_F8.jpg
그림 8.

대신세포암 (60세남)

우측 신장에 고형 종괴(횐 화살표)가 있고 9 cm로 측정된다. 비균질적인 에코(흰색, 회색, 검정 별표)를 보이며 신동을 침범하고 있다 (검정 별표). 신절제술 후 신세포암으로 진단되었다.

References

1
Sim KC, Ultrasonography of acute flank pain: a focus on renal stones and acute pyelonephritis, Ultrasonography, 2018 10.14366/usg.1705129382187PMC6177687
2
Park BK, Ultrasound-guided genitourinary interventions: principles and techniques, Ultrasonography, 2017 10.14366/usg.1702628736429PMC5621800
3
Cova M, Diagnostic imaging of chronic renal infections and renal infections in diabetes, Radiol Med, 2003
4
Tamburrini S et al., Pyonephrosis Ultrasound and Computed Tomography Features: A Pictorial Review, Diagnostics (Basel), 2021 10.3390/diagnostics1102033133671431PMC7921924
5
Kay CJ et al., Ultrasonic characteristics of chronic atrophic pyelonephritis, AJR Am J Roentgenol, 1979 10.2214/ajr.132.1.47103402
6
Zulfiqar M et al., Imaging of Renal Infections and Inflammatory Disease, Radiol Clin North Am, 2020 10.1016/j.rcl.2020.05.00432792123
7
Patel PJ, Renal parenchymal disease: histopathologic-sonographic correlation, Urol Int, 1986 10.1159/0002812203538594
8
Page JE et al., Ultrasound findings in renal parenchymal disease: comparison with histological appearances, Clin Radiol, 1994 10.1016/S0009-9260(05)82877-67828393
9
Park BK, Gray-Scale, Color Doppler, Spectral Doppler, and Contrast-Enhanced Renal Artery Ultrasound: Imaging Techniques and Features, J Clin Med, 2022 10.3390/jcm1114396135887726PMC9318477
10
Granata A et al., Doppler ultrasound and renal artery stenosis: An overview, J Ultrasound, 2009 10.1016/j.jus.2009.09.00623397022PMC3567456
11
Li JC et al., Evaluation of renal artery stenosis with hemodynamic parameters of Doppler sonography, J Vasc Surg, 2008 10.1016/j.jvs.2008.03.04818644479
12
Silverman SG et al., Bosniak Classification of Cystic Renal Masses, Version 2019: An Update Proposal and Needs Assessment, Radiology, 2019 10.1148/radiol.201918264631210616PMC6677285
13
Park BK et al., Assessment of cystic renal masses based on Bosniak classification: comparison of CT and contrast-enhanced US, Eur J Radiol, 2007 10.1016/j.ejrad.2006.10.00417097844
14
Park BK, Renal Angiomyolipoma: Radiologic Classification and Imaging Features According to the Amount of Fat, AJR Am J Roentgenol, 2017 10.2214/AJR.17.1797328726505
15
Park BK, Renal Angiomyolipoma Based on New Classification: How to Differentiate It From Renal Cell Carcinoma, AJR Am J Roentgenol, 2019 10.2214/AJR.18.2040830620673
16
Park SG et al., New radiologic classification of renal angiomyolipoma: frequently asked questions, Clin Imaging, 2019 10.1016/j.clinimag.2019.01.02530825810
17
Park BK, Renal Angiomyolipoma: Radiologic Classification and Imaging Features According to the Amount of Fat, American Journal of Roentgenology, 2017 10.2214/AJR.17.1797328726505
18
Sim JS et al., Differentiation of small hyperechoic renal cell carcinoma from angiomyolipoma: computer- aided tissue echo quantification, Journal of Ultrasound in Medicine, 1999 10.7863/jum.1999.18.4.26110206212
19
Lee MS et al., Ultrasonographic Differentiation of Small Angiomyolipoma from Renal Cell Carcinoma by Measuring Relative Echogenicity on PACS, Ultrasonography, 2010
20
Sidhar K et al., Renal Cell Carcinomas: Sonographic Appearance Depending on Size and Histologic Type, J Ultrasound Med, 2016 10.7863/ultra.15.0305126740493
21
Algin O et al., Hypertrophic columns of bertin: imaging findings, Eurasian J Med, 2014 10.5152/eajm.2014.1225610298PMC4261443
22
Indiran V, Magnetic resonance imaging as problem-solving tool in renal pseudotumor in chronic kidney disease: A case of nodular compensatory hypertrophy, Indian J Nephrol, 2016 10.4103/0971-4065.17714027942185PMC5131392
23
Koratala A et al., Kidney hump, no need to jump!, Clin Case Rep, 2018 10.1002/ccr3.163330147922PMC6099045
24
Zebedin D et al., Criteria for ultrasound differentiation of small angiomyolipomas (< or = 3 cm) and renal cell carcinomas, Rofo, 1998
25
Siegel CL et al., Angiomyolipoma and renal cell carcinoma: US differentiation, Radiology, 1996 10.1148/radiology.198.3.86288738628873
26
Park KJ et al., Sonographic Features of Small (< 4 cm) Renal Tumors With Low Signal Intensity on T2-Weighted MR Images: Differentiating Minimal-Fat Angiomyolipoma From Renal Cell Carcinoma, AJR Am J Roentgenol, 2018 10.2214/AJR.17.1890930040467
27
Park BK et al., Characterization of renal cell carcinoma using agent detection imaging: comparison with gray-scale US, Korean J Radiol, 2005 10.3348/kjr.2005.6.3.17316145293PMC2685041
28
Kay FU et al., Imaging of Solid Renal Masses, Radiol Clin North Am, 2017 10.1016/j.rcl.2016.10.00328126214PMC5607740
29
Habboub HK et al., Accuracy of color Doppler sonography in assessing venous thrombus extension in renal cell carcinoma, AJR Am J Roentgenol, 1997 10.2214/ajr.168.1.89769588976958
페이지 상단으로 이동하기